들어가며
구글 애드센스란 나의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고 그에 따른 광고료의 일부를 구글로부터 받는 서비스입니다. 유튜브와 블로그 등을 운영해 보았다면 친숙한 용어인데요.
정확히 어떤 구조로 수익이 발생하고 분배되는지에 대해서는 모르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이하 구글 애드센스의 수익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인적 및 작동 구조
인적 구조
구글 애드센스에 참여하는 자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① 광고를 의뢰하는 자
② 광고를 하는 자
③ 위 두 사람을 연결해 주는 자
④ 광고를 보는자
①은 광고를 내는 업체 등입니다.
②는 유튜버나 블로거 등이고, ③은 구글 애드센스입니다.
④는 유튜브 영상이나 블로그 등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반 사용자들입니다.
작동 구조
구글 애드센스가 돌아가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광고주는 구글 측에 광고료를 지불하고 광고를 의뢰합니다. 구글 측은 마케터(유튜버, 블로거 등)의 콘텐츠에 광고를 집행하는 대가로 마케터에게 광고 수익의 일부를 지급합니다. 시청자(혹은 독자)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광고를 보게 됩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작동이란 광고의 제공·홍보·시청이라는 단계에서 광고주와 마케터를 연결하는 역할로 작동합니다.
마치며
부업의 하나로 유튜브나 블로그의 운영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업의 수익발생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구글 애드센스 수익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